다시 길을 떠나면서
컨텐츠 정보
- 0댓글
-
본문
다시 길을 떠나며
모든 걸 다 내려놓고 떠납니다.
먼저 화계사 주지 자리부터 내려놓습니다.
얼마가 될지 모르는 남은 인생은
초심으로 돌아가 진솔하게 살고 싶습니다.
"대접받는 중노릇을 해서는 안 된다."
초심 학인 시절, 어른 스님으로부터 늘 듣던 소리였습니다.
그런데 지금 제가 그런 중노릇을 하고 있습니다.
칠십, 팔십 노인분들로부터 절을 받습니다.
저로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일입니다.
더 이상은 자신이 없습니다.
환경운동이나 NGO단체에 관여하면서
모두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한 시절을 보냈습니다.
비록 정치권력과 대척점에 서긴 했습니다만,
그것도 하나의 권력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무슨 대단한 일을
하고 있는 것 같은 생각에 빠졌습니다.
원력이라고 말하기에는 제 양심이 허락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문수 스님의 소신공양을 보면서 제 자신의 문제가
더욱 명료해졌습니다.
'한 생각'에 몸을 던져 생멸을 아우르는 모습에서,
지금의 제 모습을 분명히 보았습니다.
저는 죽음이 두렵습니다.
제 자신의 생사문제도 해결하지 못한 사람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제가 지금 이대로의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이대로 살면 제 인생이 너무 불쌍할 것 같습니다.
대접받는 중노릇 하면서, 스스로를 속이는 위선적인
삶을 이어갈 자신이 없습니다.
모든 걸 내려놓고 떠납니다.
조계종 승적도 내려놓습니다.
제게 돌아올 비난과 비판, 실망, 원망 모두를 약으로 삼겠습니다.
번다했습니다.
이제 저는 다시 길을 떠납니다.
어느 따뜻한 겨울,
바위 옆에서 졸다 죽고 싶습니다.
2010년 6월 14일 수경
4dr@naver.com
모든 걸 다 내려놓고 떠납니다.
먼저 화계사 주지 자리부터 내려놓습니다.
얼마가 될지 모르는 남은 인생은
초심으로 돌아가 진솔하게 살고 싶습니다.
"대접받는 중노릇을 해서는 안 된다."
초심 학인 시절, 어른 스님으로부터 늘 듣던 소리였습니다.
그런데 지금 제가 그런 중노릇을 하고 있습니다.
칠십, 팔십 노인분들로부터 절을 받습니다.
저로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일입니다.
더 이상은 자신이 없습니다.
환경운동이나 NGO단체에 관여하면서
모두를 위한다는 명분으로 한 시절을 보냈습니다.
비록 정치권력과 대척점에 서긴 했습니다만,
그것도 하나의 권력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무슨 대단한 일을
하고 있는 것 같은 생각에 빠졌습니다.
원력이라고 말하기에는 제 양심이 허락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문수 스님의 소신공양을 보면서 제 자신의 문제가
더욱 명료해졌습니다.
'한 생각'에 몸을 던져 생멸을 아우르는 모습에서,
지금의 제 모습을 분명히 보았습니다.
저는 죽음이 두렵습니다.
제 자신의 생사문제도 해결하지 못한 사람입니다.
그런데 어떻게 제가 지금 이대로의 모습으로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이대로 살면 제 인생이 너무 불쌍할 것 같습니다.
대접받는 중노릇 하면서, 스스로를 속이는 위선적인
삶을 이어갈 자신이 없습니다.
모든 걸 내려놓고 떠납니다.
조계종 승적도 내려놓습니다.
제게 돌아올 비난과 비판, 실망, 원망 모두를 약으로 삼겠습니다.
번다했습니다.
이제 저는 다시 길을 떠납니다.
어느 따뜻한 겨울,
바위 옆에서 졸다 죽고 싶습니다.
2010년 6월 14일 수경
4dr@naver.com
관련자료
댓글 4 개
이존형님의 댓글
이 세상에는 세가지의 악이 있습니다.
첫째는 마음이 악해서 선한 말을 듣지 않는 것이며
둘째는 남이 자기보다 나은 것을 두려워하는 것이며
셋째는 남이 자기보다 나은 것을 잘 알면서도 이것을 수치로 여겨바른
가르침을 묻지 않는 것입니다.
아무리 보잘것없는 선행이라도 행한다면
그것은 마치 곡식이 창고에 쌓이는 것과 같아서
반드시 내세의 안락과 행복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수경스님의 그 욕심없는 세상 살기를 바라시는 큰 뜻 앞에
진심으로 마음 모두어 고개를 숙입니다.
우리들도 그렇게 살지는 못 하더라도
반에 반이라도 따라가는 시늉이라도 내어보면 어떠할까 하면서
수경스님의 앞날에 부질없는 것 다버리시고 가벼이 훌훌 날아 다니시길 빕니다.
첫째는 마음이 악해서 선한 말을 듣지 않는 것이며
둘째는 남이 자기보다 나은 것을 두려워하는 것이며
셋째는 남이 자기보다 나은 것을 잘 알면서도 이것을 수치로 여겨바른
가르침을 묻지 않는 것입니다.
아무리 보잘것없는 선행이라도 행한다면
그것은 마치 곡식이 창고에 쌓이는 것과 같아서
반드시 내세의 안락과 행복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수경스님의 그 욕심없는 세상 살기를 바라시는 큰 뜻 앞에
진심으로 마음 모두어 고개를 숙입니다.
우리들도 그렇게 살지는 못 하더라도
반에 반이라도 따라가는 시늉이라도 내어보면 어떠할까 하면서
수경스님의 앞날에 부질없는 것 다버리시고 가벼이 훌훌 날아 다니시길 빕니다.
정해관님의 댓글
수경 스님이 떠났다. 14일 화계사 주지, 불교환경연대 대표, 조계종 승적 등 모든 직함을 내려놓고 세상 속으로 숨어버렸다. 우리는 위대한 실천승을 잃어버렸다. 수경은 원래 선방수좌였다. 스님은 ‘지리산에 댐이 생겨 절이 물 위에 뜰지도 모른다’는 소식을 듣고 생명지킴이로 나섰다. 선방을 나와 우리 산하를 둘러보니 어느 곳 하나 성한 곳이 없었다. 세상으로 내려와 보니 절이 곧 부요, 명예요, 권력이었다. 자신이 부끄러웠다. 일생 고무신만 신었음이 자랑만은 아니었다. 고무신을 신고 무엇을 했느냐가 중요한 것임을 알았다. 수경은 자신의 법력이 생사의 갈림길에 있는 세상의 풀 한 포기 구하지 못했음을 깨달았다.
수경 스님은 서해안 갯벌을 살리기 위해 새만금에서 서울까지 삼보일배를 했다. 그렇게 해서 여론을 긁어모았지만 결국 불도저를 막아내지 못했다. 무릎만 망가졌다. 그래도 다시 북한산을 관통하는 외곽순환도로 건설현장으로 쫓아갔다. 굴착기 앞에서 기도를 드리다 동원된 깡패들에게 목이 졸려 죽을 뻔했다. 북한산에도 구멍이 뚫렸다. 기도하고 고함치고 울부짖었지만 이 땅의 ‘생명 학살극’은 멈추지 않았다. 스님도 멈추지 않았다. 어디든 달려가 생명을 품었다. 어느새 불교계 환경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서울 화계사 주지로 오랜만에 아침 저녁 부처를 만나고 있을 때 정부가 대운하 사업을 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가만히 살펴보니 생명의 근원인 강 자체를 수장(水葬)시키는 것이었다. 스님이 또 나섰다. ‘사람·생명·평화의 길’을 위해 오체투지를 했다. 온몸을 땅에 대고 지렁이처럼 기었다. 그렇게 지리산 노고단에서 임진각까지 순례를 했다. 하지만 정부는 대운하를 4대강 사업으로 이름을 바꿔 강행했다. 스님은 절집을 나와 아예 강가에서 생명을 지켰다. 그래도 삽질은 멈추지 않았다.
문수 스님의 소신공양은 수경 스님에게 커다란 충격이었다. 생명을 지키려 생명을 버린 문수 스님 빈소를 지키며 크게 낙담했다. 우리 사회는 아무런 변화도 없었다. 종단은 마지못해 추모 시늉만 냈고, 대통령은 4대강 사업이 생명을 살리는 사업이라고 우겼다. 절망이 무력감으로 바뀌었다. 스님은 도법, 법륜과 조계종 승려 신분으로는 마지막 좌담(경향신문 6월15일자)을 하며 이렇게 말했다. “문수 스님의 소식을 들었을 때 제가 부끄러워졌습니다. 유서를 보면 죽음을 앞에 두고 망설이지 않고 아주 명료하게 정리되고 명쾌했습니다. (문수 스님은) 자연이라는 것이 바로 내 몸인데 뭐가 따로 있느냐, 실제 행동으로 하면 될 일인데 무엇을 망설이느냐, 이런 생각을 했을 겁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는 창피하고 부끄럽고….”
스님은 절망을 붙들고 위기의 생명 앞에서 길게 슬피 울었다. 선방을 나왔을 때처럼 다시 부끄러웠다. 그래서 가사와 장삼을 법당 불전에 올려놓고 떠났다. 돌아보니 스님의 떠난 자리가 너무도 깊고 넓다. 생명의 근원을 파헤치는 삽질이 계속되고 우리의 강 속으로 생명평화가 아닌 독선과 야만이 흐른다면 우리는 ‘어느 따뜻한 겨울날 바위 옆에서 졸다 죽어간’ 노승을 발견할 것이다. 수경이 있어 든든했는데, 날마다 생명을 죽이는 저 학살의 현장을 이제 누가 보듬을 것인가. 부디 생명평화가 누리에 깃들어 스님이 돌아오길 바란다. 수경의 호통이 벌써 그립다. [경향신문 사설]
수경 스님은 서해안 갯벌을 살리기 위해 새만금에서 서울까지 삼보일배를 했다. 그렇게 해서 여론을 긁어모았지만 결국 불도저를 막아내지 못했다. 무릎만 망가졌다. 그래도 다시 북한산을 관통하는 외곽순환도로 건설현장으로 쫓아갔다. 굴착기 앞에서 기도를 드리다 동원된 깡패들에게 목이 졸려 죽을 뻔했다. 북한산에도 구멍이 뚫렸다. 기도하고 고함치고 울부짖었지만 이 땅의 ‘생명 학살극’은 멈추지 않았다. 스님도 멈추지 않았다. 어디든 달려가 생명을 품었다. 어느새 불교계 환경운동의 상징이 되었다. 서울 화계사 주지로 오랜만에 아침 저녁 부처를 만나고 있을 때 정부가 대운하 사업을 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가만히 살펴보니 생명의 근원인 강 자체를 수장(水葬)시키는 것이었다. 스님이 또 나섰다. ‘사람·생명·평화의 길’을 위해 오체투지를 했다. 온몸을 땅에 대고 지렁이처럼 기었다. 그렇게 지리산 노고단에서 임진각까지 순례를 했다. 하지만 정부는 대운하를 4대강 사업으로 이름을 바꿔 강행했다. 스님은 절집을 나와 아예 강가에서 생명을 지켰다. 그래도 삽질은 멈추지 않았다.
문수 스님의 소신공양은 수경 스님에게 커다란 충격이었다. 생명을 지키려 생명을 버린 문수 스님 빈소를 지키며 크게 낙담했다. 우리 사회는 아무런 변화도 없었다. 종단은 마지못해 추모 시늉만 냈고, 대통령은 4대강 사업이 생명을 살리는 사업이라고 우겼다. 절망이 무력감으로 바뀌었다. 스님은 도법, 법륜과 조계종 승려 신분으로는 마지막 좌담(경향신문 6월15일자)을 하며 이렇게 말했다. “문수 스님의 소식을 들었을 때 제가 부끄러워졌습니다. 유서를 보면 죽음을 앞에 두고 망설이지 않고 아주 명료하게 정리되고 명쾌했습니다. (문수 스님은) 자연이라는 것이 바로 내 몸인데 뭐가 따로 있느냐, 실제 행동으로 하면 될 일인데 무엇을 망설이느냐, 이런 생각을 했을 겁니다. 그런 의미에서 저는 창피하고 부끄럽고….”
스님은 절망을 붙들고 위기의 생명 앞에서 길게 슬피 울었다. 선방을 나왔을 때처럼 다시 부끄러웠다. 그래서 가사와 장삼을 법당 불전에 올려놓고 떠났다. 돌아보니 스님의 떠난 자리가 너무도 깊고 넓다. 생명의 근원을 파헤치는 삽질이 계속되고 우리의 강 속으로 생명평화가 아닌 독선과 야만이 흐른다면 우리는 ‘어느 따뜻한 겨울날 바위 옆에서 졸다 죽어간’ 노승을 발견할 것이다. 수경이 있어 든든했는데, 날마다 생명을 죽이는 저 학살의 현장을 이제 누가 보듬을 것인가. 부디 생명평화가 누리에 깃들어 스님이 돌아오길 바란다. 수경의 호통이 벌써 그립다. [경향신문 사설]
-
이전
-
다음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