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쉼터

볶은 흙 한 줌 - / 千年의 禪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볶은 흙 한 줌

loewenzahn.jpg


궁궐 안에 꽃을 가꾸는 정원사가 새로 왔습니다.


그가 꽃을 가꾸는 솜씨는 정말 대단했습니다.


한눈에 병든 화초를 대번 가려냈고,

늘 흙투성이인 그의 손이 스쳐 가기만 해도


시들던 꽃이 생기를 얻었습니다.



하루는 임금님이 정원에 나왔습니다.


마침 새득새득한 꽃 한 포기를 돌보느라

땀을 흘리는 정원사가 눈에 띄었습니다.

"살아나겠느냐?"

임금님이 다가서서 물었습니다.

"새벽에 맑은 이슬이 내렸고,


지금은 따슨 햇볕이 애쓰고 있으니 소생할 것입니다."

정원사가 공손히 아뢰었습니다.


그런데 어찌 그 말이 임금님의 귀에는 거슬렸습니다.


신하로부터 이런 투의 대답은 처음들은 탓이었습니다.

"예, 임금님 덕분입니다.


이렇게 몸소 나오셨으니 곧 되살아나고 말고요."

여태까지의 정원사들은 으레 이런 대답을 하였으니까요.


임금님은 언짢았지만, 꾹 참고 그냥 지나쳤습니다.


그 뒤 임금님이 많은 신하를 거느리고


정원을 거닐다가 또 정원사와 마주쳤습니다.



"예쁜 나비들이 많아졌군."

"예, 향기를 풍기는 꽃이 늘어났으니까요."

"못 듣던 새 소리도 부쩍 늘었어."

"그만큼 숲이 우거졌지요."

그러자 임금님의 목소리가 갑자기 높아졌습니다.


얼굴도 붉으락푸르락했습니다.

"내 덕분이 아니란 말이렸다.!"

"예?"

정원사는 비로소 고개를 들고 의아한 눈길로


임금님을 바라보았습니다.


뒤따르던 신하들도 덩달아 눈 꼬리를 치켜 올리더니,


정원사를 향해 삿대질을해댔습니다.

"성은도 모르는 저 늙은이를 그냥 두어서는 안 되겠사옵니다."

잔뜩 화가 난 임금님이 명령했습니다.

"괘씸한 늙은이 같으니라고. 당장 옥에 가두어라!"

포졸들이 달려와 정원사를 꽁꽁 묶었습니다.

"내 덕 없이 무슨 일을 할 수 있나 어디 한 번 보자.


감옥에서 꽃 한 송이만 피워 내면 풀어 주겠다."

"그러시오면, 흙 한 줌만 주십시오."


정원사가 침착하게 말했습니다.

"오냐, 볶은 흙을 주마. 하하하."

정원사는 감옥으로 끌려갔습니다.


그 꼴을 보며 신하들이 물었습니다.

"왜 하필이면 볶은 흙을 주는 겁니까?"

"혹시 꽃씨가 숨어 있는 흙을 주면 안 되니까."

"과연 훌륭하십니다."

신하들은 임금님에게 듣기 좋은 소리를

앞다투어 늘어놓았습니다.

감옥에는 높다란 곳에 조그만 창이 나 있습니다.


마치 감옥의 콧구멍 같습니다.

그 창을 통해 하루에 한 차례씩


손바닥 만한 햇살이 들어옵니다.


그러면 정원사는 볶은 흙이 담긴 종지를

창틀에 올려놓고 그 햇살을 고이 받았습니다.


정원사는 가끔 물 한 모금을 남겨 그 흙에 뿌려 주었습니다.


그러기를 하루 이틀, 한 달 두 달 계속되었습니다.



일 년이 지나갔습니다.


그러나 달라진 게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이 년이 흘러갔습니다.

그리고 삼 년을 훌쩍 넘긴 어느 이른 봄날이었습니다.


종지에 햇살을 받던 정원사는 흙 가운데 찍힌


연두색 작은 점을 발견했습니다.

갓 움튼 새싹이었습니다.


그 순간, 정원사의 눈에 맺힌


이슬방울 하나가 그 위에 떨어졌습니다.


아마 바람이 몰래 조그만 씨앗 하나를 날라다 주었나 봐요.

"아무렴,


사람이 아무리 뒤축 들고 두 팔을 쳐들며 막으려 해도


그 높이 위로 지나는 바람을 어쩔 수 없지.


두 손바닥을 깍지껴 편 넓이 이상의 빛을 가릴 수도 없고...."

혼잣말을 하는 정원사의 파리한 얼굴에


해맑은 미소가 피어올랐습니다.


정원사는 정성껏 새싹을 가꾸었습니다.

그 무렵 임금님이 감옥 곁을 지나게 되었습니다.

무심코 감옥을 바라보던 임금님이


깜짝 놀라 걸음을 멈추었습니다.

"아니, 저건 무슨 꽃이야!"



감옥의 창틀 위에 샛노란 민들레 한 송이가 피어 있었습니다.


그것이 바람에 흔들릴 때마다


마치 별이 반짝이는 것 같았습니다.


임금님의 머릿속에 어린 왕자 시절의 일이 문득 떠올랐습니다.


갈라진 돌 틈에 뿌리 내린


민들레꽃을 보고 가슴 떨렸던 기억이었습니다.

그때 왕자의 스승이었던 학자가 이런 말을 했습니다.

"저게 바로 생명입니다. 천하보다 귀하지요."

"생명은 누가 키우나요?"

"햇볕과 비와 바람.... 자연이지요."


임금님의 귀에 옛날의 그 소리가 생생하게 들렸습니다.


비로소 그 스승의 말이


정원사의 대답과 똑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문득 세 해 전에 감옥에 보낸 정원사가 떠올랐습니다.


임금님은 눈을 감았습니다.


꽃 한 송이조차 오직 자기 덕에 피는 줄 알고


살았던 지난날이 부끄러웠습니다.


얼굴이 붉어졌습니다.

"어서 감옥의 문을 열어라. 어서!"

난데없는 임금님의 명령에 놀란 신하들이


갈팡질팡했습니다.



//

민들레 꽃길 / 千年의 禪

***

* 기도 *

쫓기는 듯이 살고 있는

한심한 나를 살피소서

늘 바쁜 걸음을 천천히 걷게 하시며

추녀 끝의 풍경 소리를 알아듣게 하시고

거미의 그물 짜는 마무리도 지켜보게 하소서

꾹 다문 입술 위에

어린 날에 불렀던 동요를 얹어 주시고

굳어 있는 얼굴에는

소슬바람에도 어우러지는

풀밭 같은 부드러움을 허락하소서

책 한 구절이 좋아

한참을 하늘을 우러르게 하시고

차 한잔에도 혀의 오랜 사색을 허락하소서

돌 틈에서 피어난

민들레꽃 한 송이에도 마음이 가게 하시고

기왓장의 이끼 한낱에서도 배움을 얻게 하소서


- 정채봉-




관련자료

댓글 3

이존형님의 댓글

삶에서 참으로 가까우면서도 먼 거리에 있는 것 같은
애환이 가득한 눈시울이 무거워지는 좋은 양식을 얻어갑니다.

세상에서의 범인들은 모든 것을 현실에만 급급하려 하고
수행을 하는 사람들은 보이지 않는 마음을 붙잡으려고 합니다.

그렇지만 마음의 벽과 현실의 벽을 뛰어넘는 길이 참된 수행의 길일 것입니다.
현실만 추종하는 임금님의 마음을 한 알의 민들레 홀씨를 통해서 임금님께
득도하게 하듯이 아둔한 임금님이 현실에만 추종하든 것은 목마른 들짐승이
아지랑이를 물인 줄 알고 찾는 것과 같았을 것 같고

우리 모두의 삶에 현실과 마음이 비록 다르다 할지라도
어느 한 쪽만 집착하다보면 둘 다 옳지 않을 것 같으니

양쪽 모두를 잘 다스리는 우리 모두가 되어 지게 하는 참 좋은 글 같습니다.

내내 건강하시고 행복하시며 좋은 홀씨 하나 잘 키우시길 빌어드립니다.

조항삼님의 댓글

조물주의 신비에 도전하는 무지몽매한 인간이 돼서는 안 되겠지요.
미풍에 흔들리는 나무라든가 야생화의 미소에 화답할 수 있는 심안이
뜨일 수 있는 겸허한 자태가 그립습니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