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순도순
글마당
[수필/일기] 분류

낙 엽 ---황종택

컨텐츠 정보

  • 0댓글

본문

낙엽
관련이슈 : 설왕설래
20081112004158
  • 가을이 깊어졌다. 울긋불긋 단풍이 곱다. 겨울로 들어설 채비를 하는 요즘 새삼 가을의 정취를 느끼게 하는 낙엽이 구른다. 낙엽을 주워 책갈피에 끼우며 어릴 적 친구들과 우정을 나누던 기억을 떠올리게 된다. 상큼한 아침, 높고 푸른 하늘, 따갑지만 싫지 않은 햇볕, 산들바람, 색색의 옷을 입은 아름다운 꽃들이 파노라마처럼 추억 속에 피어난다.

    바삭바삭 소리를 내며 밟히는 낙엽들은 체감과 청각의 즐거움도 안겨준다. 아니 낙엽에선 향기가 난다. 작가 이효석은 낙엽을 태우면서 “잘 익은 커피 냄새가 난다”고 했지 않은가. 지난봄부터 힘들게 목숨을 지켜오면서 새 생명의 잉태를 위한 거름이 되는 낙엽의 ‘고귀한 삶’에서 어찌 향기가 나지 않을 수 있으랴. 그래서 어스름을 타고 지는 낙엽을 밟으며 ‘시몽, 너는 좋으냐, 낙엽 밟는 소리가?’라는 구르몽의 시를 외우거나, “찬바람이 싸늘하게 얼굴을 스치면/ …/ 푸르던 잎 단풍으로 곱게 곱게 물들어 …”로 시작하는 가수 차중락의 ‘낙엽 따라 가버린 사랑’이라도 부르고 싶어진다. 가을은 교훈을 준다. 열매를 맺기 위해 열심히 살았지만 버릴 건 버릴 줄 알아야 한다는 뜻이다. 계절이 다 가도록 나뭇잎을 움켜쥐고 있다면 제때 곱게 물들지 못하고 갑자기 닥쳐온 추위에 마르거나 상해 버릴 것이다. 사람의 삶도 그렇다. 가질 때와 비울 때를 생각하지 않아 자신이 이루었던 많은 것을 잃는 경우를 더러 보기에 그렇다. 자연을 닮아야 함을 일러준다. 그게 변치 않는 진리다. 그래서 노자는 ‘도법자연(道法自然·진리는 자연을 본받는다)’을 설파했나 보다.

    도심을 물들였던 가로수 잎들이 떨어지면서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낙엽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수거와 처리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김광균 시인이 “낙엽은 폴란드 망명정부의 지폐”라고 했지만 낙엽이 그토록 가치가 없는 것일까. 퇴비용이나 가을 정취를 만끽하려는 관광객들을 위한 자원 등으로 재활용한다는 소식도 들린다. 눈으로, 코로, 마음으로 보고 맡으며 느낄 수 있는 사계절이 있다는 것, 얼마나 고마운가. 하늘의 축복이다. 결실의 계절 가을은 더욱 그렇다.

    황종택 논설위원

관련자료

댓글 5

조항삼님의 댓글

삼라만상의 변화무쌍함을 더욱 느끼게 하는 절기임에
틀림 없습니다.
사계절의 변화가 주는 교훈은 아둔한 이의 감성을 계발
시켜 줍니다.

그 중에도 가을은 삭막한 이들의 가슴까지 설레이게
합니다. 만추의 절경이 반짝하는 사이 나목은 동면에
침묵만이 흐르고 있습니다.

문정현님의 댓글

며칠간 아파트에 아름드리 정원수를 손질하는가 싶었는데
잎사귀 한잎 남기지 않고 앙상하게 가지를 쳤더만요.
세상에 !~ 동장군이 기습해 오는데....

앙상하게 정리를 하는 쪽이 내년에 더 푸르게 무성한 잎을
본다고 하고, 나무도 곧게 자란다고 합니다.
겨우내 낙엽 밟을 일도 없이 떨어진 낙엽까지 잘 정리해서
맹송맹송한 정원수만 도열해 있습니다.

단풍나무/ 은행나무 말리고 코딩해서 책갈피로 사용한 때가
그립습니다. !!~~

이무환님의 댓글

낙엽의 의미심장한 표현!!낙엽의 스치는 소리,느낌
낙엽을 통해 한해의 가는길 연상하고 반성하고
정겨운 그길들 감사 합장축원 아주,,,

소상호님의 댓글

가질 때와 버릴 때를 낙엽을 보면서
배우는 우리네 삶의 정서가
때로는 서럽웁지만

또 어느면에서는 가야 할 인생을 놓고
가는 낙엽 보면서 익히 배울 수
있도록 자상한 신의 배려를
감사히 생각 할 수 있는
넉넉한 가슴 되기를..

정해관님의 댓글

☯ 채근담47. 急流勇退

공을 이루었을 때 물러남이 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사람들과 지냄에 있어 명예. 이익을 다투지 않으며,
이해. 명예. 치욕을 따지지 않아 겸양으로 대하면
남의 원망을 사지 않는다.

가정회 은행계좌

신한은행

100-036-411854

한국1800축복가정회

알림 0